입력된 코드, 화음을 아르페지오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.
트랙의 FX같의 우클릭하여 Process > MIDI Effects > Uncategorized > Arpeggiator 들어간다.
새로 뜬 Arpeggiator 창을 통해 원하는 형식의 아르페지오 형식으로 변경해보자.
Units : 아르페지오 음 간의 간격을 나타내는 단위 (Notes, MIDI Ticks, Milliseconds로 구성되어 있으며, 선택하는 유형에 따라 Rate의 표시방식이 달라진다.
Rate : 속도, 빈도 (숫자가 높으면 음을 적게 쪼갠다. 빈도가 낮다. 따~~~~~~~~~따~~~~~~~~,,, 이런식으로,
숫자가 낮으면 음을 많이 쪼개 빈도가 높아진다. 따따따따따따따따따따따 이런식으로. 범위 : 1~500)
Legato : 끊어치기? (숫자가 높으면 한음이 길게 가고, 숫자가 낮으면 음이 짧게 끊어진다. MAX 99%일때 음은 자신의 길이만큼 꽉 채워진다.)
Swing : 스윙 느낌을 주는 기능인데,, 말로 설명하기 어렵다. 한번 해보시길. 범위는 -100% ~ 100%이고 0일 경우 아무 변화가 없다.)
Output : 체크하면 아르페지오 음역을 지정할 수 있다.
Chord : 체크하면 코드 분석을 해준다. 지정된 음역 내에서 코드 분석을 한다.
Path : 음들이 오르고, 내려가는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.
Play Through : 표시하면 원래 음이 살이 있는 상태에서 아르페지오가 추가되고, 표시하지 않으면 원래 음이 아르페지오 형태로 변환한다.
케이크워크 질문 - 자유게시판 - 소나로
케이크워크로 사진과같이 구현할 수 있나요? 마스터건반 없이
sonaro.kr